AI와 함께 일하는 세대, 새로운 커리어 정체성이 필요하다
AI의 시대는 단순히 기술의 발전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인간이 일과 커리어를 정의하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뜻한다. 과거의 커리어는 회사와 직무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AI와 협업하며 어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가’가 중심이 되고 있다. 새로운 세대는 더 이상 일자리를 찾는 세대가 아니라, 기술과 함께 일의 의미를 재설계하는 세대다. 이 변화 속에서 우리는 스스로의 커리어 정체성을 다시 세워야 한다. AI와 함께 성장하는 세대의 등장 AI 기술은 더 이상 특정 산업이나 전문가만의 영역이 아니다. 초등학생부터 대학생, 그리고 직장인까지 모두가 AI와 함께 일하고 있다. 특히 MZ세대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AI를 자연스럽게 활용한다. 이들은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AI 툴을 사용하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며, 스스로의 역량을 끊임없이 확장한다. 예를 들어 마케팅 분야에서는 콘텐츠를 기획할 때 AI가 데이터 분석을 돕고, 영상 제작에서는 AI가 자동 편집을 지원한다. 그러나 진정한 경쟁력은 기술 그 자체가 아니라, 기술을 통해 인간만이 낼 수 있는 차별화된 결과를 만드는 능력에 있다. 결국 AI와 함께 일하는 세대는 기술을 ‘도구’가 아니라 ‘협력자’로 인식해야 한다. 커리어 정체성이 흔들리는 이유 AI의 발전은 직업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기존에는 한 가지 전공과 직무로 커리어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 인공지능이 단순 반복 업무를 대체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나는 앞으로 어떤 일을 해야 할까’라는 질문에 직면한다. 더 이상 직업의 안정성만으로는 자신의 정체성을 설명할 수 없는 시대다. 커리어의 의미가 ‘무엇을 하는가’에서 ‘왜 하는가’로 이동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인간은 일의 본질적인 목적을 더 깊이 고민하게 된다. 나의 일은 사회에 어떤 가치를 주는가, AI와 함께 일할 때 나는 어떤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는가. 이 질문이 새로운 커리어 정체성의 출발점이다. AI 시대의 ...